
(서울=연합뉴스)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24일 "지금은 1호 혁신안이 통과되는 게 제일 중요한 문제"라며 "그게 통과되지 않는다면 (혁신위) 회의를 할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혁신안 4호안에 대한 논의도 혁신위에서 이미 마친 상태"라며 "이미 제안한 1∼3호안을 비대위와 의원총회에서 충분히 숙의할 시간을 드리기 위해 4호안을 발표만 안 했을 뿐이다. 우리는 지금도 계속 기다리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혁신위는 지난 9일 출범 이후 ▲ 당헌·당규에 계엄·탄핵 등에 대한 '대국민 사죄' 포함(1호안) ▲ 최고위원 선출 방식 변경(2호안) ▲ 당원소환제 강화(3호안) 등 3개 혁신안을 내놨다.
국민의힘은 전날 두 차례 의총을 열어 3개 혁신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으나, 뚜렷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채 종료했다.
그는 "혁신위는 혁신안 4호안까지 논의하고 중단하고 기다리고 있었다"며 "그런데 시간이 점점 가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정말 1호안만이라도 살려야 된다는 것"이라고 했다.
향후 혁신위 향배에 대해선 "지도부의 의지에 달렸다"며 "의총은 의지만 있으면 오늘이라도 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1호안이 제대로 반영되면 2, 3호안은 조금 미뤄도 되는 문제"라며 "지난 10일 전 국민 앞에서 혁신안을 발표했고 2주가 흐른 지금 숙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국민에게 어떻게 비칠 것이냐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전당대회 일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데 대해 "전대가 시작되면 혁신안 논의는 중단되는 것"이라며 "전대 일정 때문에 서둘러서 혁신안을 보내고 기다리고 있었는데 논의가 진행되지 않아 혁신위 동력이 꺼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공당으로서 최소한의 방향을 얘기하는 1호안도 통과되지 않고 전대를 한다는 것은 너무 끔찍하다"며 "이런 상황이라면 전대 이후 '컨벤션 효과'가 아니라 '디컨벤션 효과'가 일어날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질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