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TV 제공]](http://www.kookjeilbo.com/data/photos/20251147/art_17634379218847_72de4c.jpg)
(서울=연합뉴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사의 올해 3분기 누적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 639개 상장사의 올해 3분기 누적 연결 기준 순이익은 152조3천26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25.8% 늘어난 규모다.
매출액은 2천299조1천183억원으로 5.4%, 영업이익은 179조5천678억원으로 15.0% 증가했다.
이에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순이익률도 각각 0.65%포인트, 1.07%포인트 개선됐다.
매출 비중이 10.4%인 삼성전자[005930]를 제외해도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3분기 누적 실적은 모두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순이익과 영업이익은 각각 34.3%, 20.1% 증가했고, 매출액도 5.3% 늘어났다.
이는 상장사의 3분기 실적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올해 3분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순이익은 61조4천2억원으로 2분기 대비 55.5% 늘었고, 영업이익도 69조2천163억원으로 33.0% 증가했다.
매출액은 783조4천704억원으로 2.7% 늘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재무 상황을 살펴보면 9월 말 기준 연결 부채비율은 109.5%로 지난해 말 대비 2.0%포인트 소폭 개선됐다.
3분기 누적 순이익 흑자를 거둔 기업은 502곳(78.6%)으로 515개사였던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3곳 감소했다.
적자를 낸 상장사는 137곳(21.4%)으로 124개사였던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났다.
업종별로 전기·전자와 일반서비스 등 9개 업종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증가했으나, 비금속과 운송·창고 등 11개 업종은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증가율이 높았던 업종은 부동산(470.96%), 의료·정밀기기(185.76%), 전기·가스(117.75%) 등이었다. 반면 종이·목재는 적자 전환했다.
금융업의 경우 42개 상장사의 3분기 누적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 11.3% 증가했다.
이 가운데 증권 부문의 호실적이 두드러져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32.1%, 36.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실적 호조는 코스닥시장 상장사에서도 나타났다.
한국거래소와 코스닥협회는 코스닥시장 상장사 중 1천217개사의 연결 기준 3분기 누적 순이익이 5조3천4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8조8천358억원으로 같은 기간 9.7%, 매출액은 213조2천840억원으로 6.7% 늘어났다.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순이익률도 각각 0.11%포인트, 0.21%포인트 증가했다.
3분기 말 기준 부채비율은 112.8%로 전년 말과 비교해 7.5%포인트 증가했다.
분석 대상 기업 중 3분기 누적 순이익 흑자 기업은 678개사(55.7%)로 710개사였던 전년 동기 대비 32개사가 줄었다.
23개 업종 가운데 일반 서비스와 화학 등 13개 업종은 순이익이 증가(흑자전환 포함)했지만, 섬유·의류 등 10개 업종의 순이익은 감소(적자지속·전환 포함)했다.
이처럼 올해 3분기까지 상장사의 누적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증권가는 내년 실적도 밝게 전망하고 있다.
한지영·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 10월 이후 국내 증시에 주가 상승 동력을 제공했던 3분기 실적 시즌이 순조롭게 종료된 모습"이라며 "이 영향으로 2026년 코스피 영업이익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가 9월 말 350조원에서 11월 17일 현재 409조원으로 약 17% 상향 조정됐다"고 전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호황 및 조선·자동차의 선전, 공격적인 재정 지출 등으로 내년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올해보다 늘어난 1.8%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그는 이 같은 성장을 위해서는 "사업 부진이 장기화하고 자금 경색이 강화되며 부도 위험 증가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