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대전ㆍ충청ㆍ강원

세종시, '남세종종합청소년센터' 개관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이춘희)가 청소년의 주도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지원을 위해 건립을 마친 남세종종합청소년센터(센터장 오제상)이 13일 문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남세종종합청소년센터는 시 공약과제로 세종시 청소년들의 참여공간을 마련하고 다양한 청소년 정책과 프로그램의 통합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세워졌다.

 

지난해 11월 기준 세종시 청소년 인구는 6만4천489명으로 이 중 5만1천857명(80.4%)이 '동' 지역에 집중돼 있어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 수요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시는 지난 2017년 아름동 용지 매입 이후 이듬해인 2018년 실시설계·착공에 들어가 2년 만인 지난해 8월 센터를 완공, 지상 3층, 지하 1층 연면적 5천780.43㎡(부지 1만 2천765.2㎡) 규모로 건립했다.

 

남세종종합청소년센터에는 ▲다목적 강당 ▲다목적체육관 ▲방송콘텐츠제작실 ▲요리 및 제과제빵 실습실 ▲메이커스페이스실 등 전문 시설을 구축해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다.

 

시는 본격적인 운영에 앞서 지난해 12월 시범운영을 통해 만반의 준비를 마친 상황이다.

 

올해는 '세종 청소년의 미래, 행복을 디자인하다'라는 주제로 청소년·봉사·동아리 활동, 학교연계사업, 교육문화 프로그램 등 10가지 영역으로 나눠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청소년 중심의 활동 참여를 확대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체험활동 활성화, 주도적 프로젝트 강화, 지역사회와의 유기적 연계 강화 등을 운영 목표로 삼았다.

 

시는 센터 기능 강화를 위해 2021년 내실화, 2022∼2023년 도약기, 2024∼2025년 확대 성장기 등 5개년 중장기 계획을 구축하고 단계별로 운영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시대 흐름에 발맞춘 센터만의 특성화 사업으로 ▲크리에이터 청소년활동 ▲청소년 환경 프로젝트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이춘희 시장은 "남세종종합청소년센터 개관으로 세종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의 기회를 제공하게 돼 기쁘다"며 "청소년들이 행복한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남세종종합청소년센터를 중심으로 세종시 청소년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개관식은 개최하지 않으며 프로그램은 비대면으로 운영할 계획으로 시설 개방 시점도 추후 결정할 방침이다.


<자료출처 : 세종특별자치시청>




전국

더보기
인천 동구, 노인 스케일링 본인부담금 지원사업 확대 【국제일보】 인천 동구(구청장 김찬진)는 2023년 10월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했던 '노인 스케일링 본인부담금 무료 지원사업'의 대상자와 시술 내용을 확대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 확대는 기존의 소득 기준이 높아지면서 일부 저소득 어르신들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사례가 있었고, 건강보험에서 연 1회 적용되는 스케일링 보다 후속 처치가 포함된 치주 스케일링 시술이 실제로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새롭게 완화된 대상자 기준은 신청일 기준 동구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기준 중위 소득 130%이하 65세이상 노인이며, 시술 내용은 건강보험 적용 연1회 스케일링 또는 후속 처치가 있는 치주 스케일링 본인부담금 지원이다. 기존에는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65세이상 노인이 대상자였다. 기존 대상자는 7천902명이었고 새롭게 확대된 기준으로는 1만430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해당 사업은 지역 내 스케일링 참여 치과 의료기관에서 매년 1회 무료로 시술받을 수 있으며, 신청은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보건소 구강보건실에 방문 신청하면 된다. 김찬진 동구청장은 "이번 소득 기준 완화를 통해 더 많은 어르신들이 경제적인 부담 없이 필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