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부정선거를 주장해온 전 미국 국제형사사법대사 모스 탄(한국명 단현명) 리버티대 교수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가운데, 탄 교수를 고발한 것이 강성 보수 성향 단체로 파악돼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7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탄 교수를 고발한 곳은 '자유대한호국단'으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세력이 규합해 만든 단체다.
이들은 2020년부터 '부정선거'를 주장해왔으며, 12·3 비상계엄을 "자유민주주의와 헌정 질서 수호를 위한 최소한의 방어적 조치"라며 옹호했다. 지난 대선 땐 이 대통령을 일반이적 등 혐의로 여러 차례 고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단체는 지난 8일 탄 교수를 상대로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 고발장을 경찰에 제출했다. 그가 지난달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선거감시단의 기자회견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청소년 시절 집단 성폭행·살해 사건에 연루돼 소년원에 수감됐다'는 취지로 주장한 게 이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것이다.

단체의 전력을 생각하면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행보이기에, 일각에선 고발에 '정략적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이 대통령에 대한 음모론을 수사해달라고 요청하며 오히려 공론화시키는 효과를 노린 게 아니냐는 취지다. 이 음모론은 2021년 검찰에서 허위로 판명됐고 유포자는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다만, 자유대한호국단 오상종 대표는 '국격 수호'가 고발 이유라고 주장했다.
오 대표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탄 교수가 발언을 한 지 10일이 지나도록 대통령실과 여당이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으며, 일반 국민이 이 주장을 퍼나르는 상황"이라며 "제2의 (허위사실 유포) 피의자가 나올 수 있고, 대한민국 국격과도 상관이 있는 문제다. 그래서 조속히 수사해달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이 사건은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배당됐다. 경찰은 아직 고발 내용을 검토 중이다. 여권을 중심으로 탄 교수에 대한 출국정지나 강제 퇴거 주장이 나오고 있지만, 이번 주말로 알려진 탄 교수의 출국 전까지 실질적 수사가 이뤄질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