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바이러스 [서울대병원 제공] / 연합뉴스](http://www.kookjeilbo.com/data/photos/20251146/art_17630871341786_5f8d53.jpg)
(서울=연합뉴스) 간 수치가 정상인 만성 B형 간염 환자도 바이러스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면 조기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보건복지부가 지원하는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 소속 임영석 서울아산병원 교수 팀이 수행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2019∼2023년 사이 한국과 대만의 22개 의료기관에서 간 손상 수치(ALT)가 임상적으로 '정상' 또는 '경미 상승' 범위이지만 혈액 속 간염 바이러스량(HBV DNA)은 '많다'고 판정된 비간경변성 만성 B형간염 환자 734명의 상태를 추적 분석했다.
환자 중 369명은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한 '조기 치료군'이었으며 365명은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과 관찰군'으로 분류됐다.
분석 결과 조기 치료군에서 간암·사망·간부전 등 주요 질환 발생률이 경과 관찰군보다 약 7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진이 국제 사회에서 쓰이는 '점진적 비용-효과비'(ICER)를 조기 항바이러스 치료에 적용했을 때, 간암·간부전·간 이식 등을 예방함에 따른 장기적인 비용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간 수치 상승 여부와 무관하게 혈액 속 B형 간염 바이러스량이 많은 환자에 대한 항바이러스 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했다"고 연구 의미를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만성 B형 간염은 생산활동 연령대인 30∼60대에서 유병률이 높고, 간암으로 이행될 경우 고액의 의료비와 조기 사망 등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도 크다.
그러나 국내 유병자 중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고 있는 비율은 21%가량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원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이 "현행 건강보험 급여 기준이 간 수치 상승 여부에 따라 제한적으로 적용돼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충분히 포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비용 효과성이 입증된 40대 이상 환자의 항바이러스 치료 건보 급여 적용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